Published on

웹툰 배경작업이나 폴더정리할때 사용할수 있는 언리얼 플러그인을 공유합니다.

Authors
  • avatar
    Name
    Beni
    Twitter
    Tech Lead

안녕하세요 테크리드 Beni 입니다.

웹툰 작업을 하다 보면 배경 세팅이 가장 손이 많이 가는 파트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인물이 들어가는 씬에서는 배경의 전체적인 스케일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실제 작화를 배치하기 전에 캐릭터 크기나 공간 비율이 자연스러운지 판단하기 어렵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희 팀에서는 3D Doll(가이드용 캐릭터 모델) 을 간단히 배치할 수 있는 기능을 플러그인에 넣었습니다. 씬 안에 Doll을 배치해 두면, 작화 시점에서 인물 크기나 배경 비율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배경의 왜곡이나 비율 문제를 초기에 잡을 수 있어, 작화 과정이 훨씬 수월해졌습니다.

또 다른 플러그인은 Static Mesh 제작 후 네이밍 룰과 폴더 구조를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기능입니다. 웹툰용 배경 오브젝트는 자주 수정되거나 재활용되기 때문에, 일관된 네이밍 규칙이 없으면 관리가 굉장히 어려워집니다.

이 플러그인은 제작된 Mesh를 지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 폴더 구조를 생성하고 • 파일명을 규칙에 맞게 변경해 줍니다.

덕분에 개발자나 아티스트가 일일이 이름을 바꾸거나 폴더를 정리할 필요 없이, 버튼 한 번으로 정리된 리소스 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플러그인 개발 배경

이 두 가지 기능(3D Doll 배치, 자동 네이밍)은 모두 실제 현업의 불편함에서 출발했습니다. 조금이라도 배경 세팅과 관리 과정을 빠르게,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저희 팀에서는 언리얼 엔진용 플러그인을 직접 제작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티스트가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UI를 단순하게 구성하고 버튼 중심으로 동작하도록 설계했습니다.

🎨 “복잡한 기능보다는, 클릭 몇 번으로 결과를 얻는 도구를 목표로 했습니다.”

설치 및 사용 방법

  • 플러그인 폴더를 프로젝트 내 Plugins/플러그인 명 위치에 복사
  • 언리얼 에디터 재시작

⚙️ 지원 버전: Unreal Engine 5.4 이상

실제 사용 예시

폴더정리
  • 그림 1: 네이밍 룰과 폴더 구조 정리
Doll 배치
  • 그림 2: Doll 배치

마무리

이 플러그인은 “팀의 반복 작업을 줄이자” 는 생각에서 시작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웹툰용 3D 씬 워크플로우의 기반이 되어 작화, 연출, 시점 유지 등 다양한 파트에서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에게 이 플러그인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